중고차를 사려고 할 때 “찻값만 준비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입니다.
차량 가격 외에도 다양한 세금, 공채, 이전 등록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며, 반대로 정부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을 알면 수십만 원을 아낄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중고차 구매 시 알아야 할 세금 항목, 감면 제도, 절세 팁,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 중고차 구매 시 필수 발생 세금
중고차를 살 때는 아래 항목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거나 공과금이 발생합니다.
1. 취득세 (자동차 취득 시 지방세)
가장 중요한 세금입니다. 차량을 취득하면 무조건 내야 합니다.
- 기준: 중고차 가격(실거래가) 또는 과세표준액(시가표준액) 중 더 높은 금액 기준
- 일반 승용차 세율: 7%
- 화물차·승합차: 5%
- 영업용 차량: 4%
- 경차(1000cc 미만): 일부 면세 조건
예를 들어 중고차를 1,500만 원에 구입했다면,
- 승용차 기준 취득세는 약 105만 원
🚨 주의: 차값 외에 부대비용으로 100만 원 넘게 들어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공채 매입 비용 (지방채 의무 매입)
중고차를 등록할 때 일부 지역은 지방채를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합니다. 이것도 **‘세금 같은 비용’**입니다.
- 서울시: 차량가의 약 10% 내외의 공채 매입
- 경기도: 일부 면제 또는 할인
- 지방 중소도시: 할인율 높음
매입한 공채는 일정 기간 후에 액면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매도해야 하므로 손해가 발생합니다.
예: 100만 원짜리 공채 → 92만 원에 팔게 됨 → 약 8만 원 손해
Tip: 공채 매입 비용은 딜러가 대납해 줄 수 있으니 협상 시 활용하세요.
☞ 세금 줄여주는 혜택 (2025년 기준)
다행히, 정부는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취득세 감면 또는 면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분들은 무조건 체크하세요.
1. 다자녀 가구 (2025년부터 ‘2자녀’도 포함)
기존엔 3자녀 이상만 감면 대상이었으나, 2025년부터 2자녀 이상이면 감면 가능합니다.
- 6인승 이하 차량: 최대 70만 원 한도에서 50% 감면
- 7인승 이상 SUV, 미니밴: 한도 없이 50% 감면
- 중고차도 동일하게 적용
🚨 중요: 감면 신청은 차량 등록 시 지방세 감면신청서를 제출해야 적용됩니다. 안 내면 자동적용 안 됩니다.
2. 경형자동차 (1,000cc 미만)
경차는 원래 세금 부담이 낮지만, 그중에서도 취득세는 거의 면제 수준입니다.
- 취득세가 75만 원 이하일 경우 전액 면제
- 초과 시 75만 원까지 공제
예: 1,000cc 경차를 800만 원에 구매 → 취득세는 약 56만 원 → 전액 면제
3. 친환경차량 (전기차, 수소차)
중고 전기차나 수소차를 구매하는 경우도 세금 감면 대상입니다.
- 취득세 최대 140만 원까지 면제
- 초과 금액은 본인 부담
🚨 중고 전기차도 가능하지만, 차량 연식과 등록 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관할 구청 확인 필요
☞ 중고차 구매 전 절세 전략
1.등록비용 포함 총예산 세우기
찻값만 보지 말고 아래 5가지를 모두 합산하세요:
- 차량가
- 취득세
- 공채 매입 비용
- 이전등록비
- 차량 보험료
예산이 빠듯할수록 중고차 가격보다 세금이 적은 모델을 고르는 게 유리합니다.
2. 혜택 여부 사전 확인 필수
- 자녀 수 → 다자녀 감면 가능?
- 차량 종류 → 경차 또는 친환경차?
- 지역 → 공채 매입 여부?
- 장애인 등록 여부 → 관련 감면 혜택?
감면은 자동적용 아님 → 직접 신청 필요
☞ 실제 사례 비교
A 씨A 씨 (서울 거주, 2자녀 가구)는
2022년식 카니발(중고, 차량가 2,200만 원)을 구매
- 취득세 원래 약 154만 원
- 다자녀 감면 적용 → 77만 원 절감
- 공채 매입 220만 원 → 할인 후 매도 시 실손실 약 18만 원
➡ 실제 차량 가격 외 약 150만 원 이상 추가 발생, 하지만 감면 덕분에 70만 원 이상 절약
☞ 체크리스트
- 구매 전 총비용 견적 확인했나요?
- 취득세 감면 대상 여부 확인하셨나요?
- 공채 매입 지역인지 확인했나요?
- 세금 외 등록비용 준비하셨나요?
- 보조금 신청 시기와 서류 확인했나요?
☞ 결론
중고차는 ‘싸게’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금과 혜택을 얼마나 똑똑하게 적용하느냐’가 진짜 실속입니다.
✔ 구매 전 반드시 감면 조건 확인
✔ 세금 외 부대비용까지 포함한 실구매가 계산
✔ 딜러와 협상 시 공채 대납 여부 확인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이웃 추가 & 공유 부탁드릴게요!